【STV 박상용 기자】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이 윤석열 대통령 석방 이후 ‘친윤’에 무게를 싣고 있다.
탄핵에 찬성하는 의사를 밝혔던 후보들마저 헌법재판소 심판 과정에 문제 제기를 하며 강성 지지층 달래기에 나섰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질수록 강성 지지층과 선을 긋고 중도 성향의 후보가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예상은 어긋났다.
당내에서는 내친 김에 윤심(尹心) 후보를 세우는 것도 염두에 두는 모습이다.
윤 대통령 석방 뒤 중도 보수 성향의 후보들의 발언이 사뭇 달라졌다.
탄핵안에 찬성한 기존의 입장을 뒤덮기 위해 윤 대통령을 향한 구애의 목소리를 낸 것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1일 국회를 찾아 헌법재판소의 평의의 절차적 흠결을 지적했다.
오 시장은 “지혜롭게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완벽한 결론을 내기 위한 보완을 진행해 실체적, 절차적 흠결을 치유할 필요가 있다”라고 했다.
오 시장의 윤 대통령의 ‘관저 정치’ 비판에 대해 “필요하면 사람등를 만날 수 있는 것”이라고 옹호했다.
또한 오 시장은 “더불어민주당이 그런 만남조차도 경원시하는 논평을 냈던데 너무 무리한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탄핵안 가결을 막지 않았다는 이유로 배신자 프레임에 휩싸인 한동훈 전 국민으힘 대표도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대통령 뵐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라고 했다.
또한 한 전 대표는 윤 대통령의 구속 취소에 대해서도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여권 지지율 1위를 달리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대통령께서 석방되셔서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졸속 재판은 사법제도의 공정성을 해치는 일방적이고 잘못된 재판”이라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찬탄 후보들이 일제히 반탄으로 돌아선 건 대선 경선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