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정 박 전 미국 국무부 대북 고위관리 겸 부차관보(대북특별대표)는 트럼프 정부가 북한의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하면 “한국을 포함한 동맹에 엄청난 도전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바이든 정부가 한·미·일 협력을 제도화한 ‘캠프 데이비드’ 합의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중국·북한의 공격적 태도를 보일 때 다양한 레벨에서 3자 협력을 지속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라고 했다.
박 전 대표는 중앙정보국(CIA)·국가정보국(DNI) 출신 한반도 전문가이며, 바이든 행정부 국무부에서 3년 반 동안 대북(對北) 업무를 담당하고 지난해 7월 퇴직했다.
그가 공개적 발언을 내놓은 건 퇴직 후 처음이다.
박 전 대표는 최근 한미경제연구소(KEI)가 주관하는 ‘아이 온 코리아’ 프로그램에 출연해 “한·미·일 관계는 바이든 정부 시절에 우리가 했던 가장 중요한 외교적 노력”이라고 강조하고 나섰다.
박 전 대표는 “근육 기억(muscle memory·반복된 훈련을 통해 자연스럽게 되는 체화 과정)을 강화해 한·미·일 관계를 심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공격적 태도를 바꾸지 않을 것이며, 북한도 마찬가지”라면서 “우리가 직면한 거대한 지정학적 도전을 고려할 때 이런 노력을 계속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라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직접 대화를 시사한 데 대해 “김정은은 미국과 외교를 할 인센티브가 적다”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피트 헤그세그 국방장관 등이 북한을 ‘핵 보유 세력(nuclear power)’이라 표현한 데 대해서는 “북한이 항상 원했던 것으로 (이를 인정하면) 북한에 존재하지 않던 광채를 부여하고 ‘불량 국가(rogue state)’라는 지위에서 벗어나게 해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동맹에 대해 알아야 할 것’을 말해달라는 질문에는 “한국은 (트럼프 1기 시절인) 2019년, 2020년 때와 다르다”면서 북한과 관련한 외교 초점에서 벗어나 나토(NATO)까지 외연을 확장했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