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미국 국무장관이 파나마를 방문해 파나마 운하에 대한 변화를 요구했지만 파나마 측은 이를 거절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2일(현지시간) 파나마에 방문해 파나마 대통령을 면담하고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실제적 변화를 요구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파나마 운하 통제·운영은 주권 사항이라 논의하지 않겠다고 맞서 미국과 견해 차이를 재확인했다.
다만 물리노 대통령은 미국과 기술적 논의를 하겠다며 협상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았다.
미 국무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루비오 장관은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통제력이 위협적이며, 영구적 중립성을 담보해야 한다는 (미국과의) 조약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예비적 결정을 파나마 측에 알렸다”라고 했다.
이어 “루비오 장관은 현 상태를 용납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라고 했다.
AP통신은 루비오 장관이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에게 ‘동맹국이라도 운하에 대한 중국 영향력을 즉시 줄이지 않으면 미국 정부의 조처를 감수해야 한다’라고 경고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취임도 하기 전부터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운영하고 있다”면서 상황이 변화하지 않을 경우, 1999년 파나마에 이양한 운하 통제권을 환수할 것이라고 여러 차례 밝혔다.
미 CNN은 “CK 허치슨 홀딩스 자회사가 파나마 운하 양 끝단에 있는 2개 항구(발보아·크리스토발)를 운영하는 것”이라면서 ‘중국의 파나마 운하 통제’ 주장은 가짜뉴스라고 비판하고 나선 바 있다.
CK 허치슨 홀딩스는 홍콩계 업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