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 종합장례시설 들어선다…2030년 완공 목표로 착공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종합장례시설 無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종합장례시설이 없는 대전에 종합장례시설이 들어선다.
시는 오는 2030년을 목표로 대전 장사종합단지 착공에 나서기로 했다. 점차 증가하는 장례수요를 소화하고 장례와 관련된 절차를 한 공간에서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12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10만명 당 사망자 수는 ‘2014년 527.3명→2015년 541.5명→2016년 549.4명’, 대전은 ‘2014년 431.4명→2015년 459.7명→2016년 462.2명’ 등으로 각각 늘어나고 있다. 사망자 수가 늘어난다는 것은 그만큼 장례수요가 증가한다는 말이다.
노령화 지수 역시 빠르게 증가하며 종합장사시설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최근에 각 지자체에는 장례 과정을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는 종합장사시설이 대세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대전 인근의 세종시의 경우 ‘은하수 공원’을 만들어 화장과 봉안, 자연장 시설을 갖추고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 곳에서는 장례절차를 한 번에 치를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세종시의 장례 수요가 이 곳으로 몰려들고 있다.
그러나 대전에는 공설묘지와 봉안당, 화장장이 띄엄띄엄 위치하고 있을 뿐 종합장사시설은 존재하지 않는다.대전은 전국 광역시급 지자체 중 유일하게 종합장사시설이 없는 도시이다.
이때문에 대전 내에서도 지역의 장례수요를 소화하기 위해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노령화 지수 역시 높아지는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종합장사시설을 짓고 장례수요에 대응해야만 ‘장례대란’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시는 종합장사시설 조성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신축에 대한 용역을 발주한다는 계획이다.
용역은 중장기 장사 수급계획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화장로 및 봉안당의 미래 수요까지 예측해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 관계자는 “2004년 이미 종합장사단지 조성을 추진했지만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실패했다”면서 “올해는 충분한 시민의견 수렴절차를 거치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겠다”고 다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