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이영돈 기자】21대 대선 여론조사 공표 금지 기간이 하루 남았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28일부터 실시되는 대선 여론조사는 투표 마감 시점인 다음달 오후 6시까지 결과를 공표할 수 없다.
역대 대선에서는 공표 금지 직전 여론조사 결과가 실제 승부와 다르지 않아 우열과 판세를 짐작할 수 있었다.
한국갤럽의 13~20대 대선 여론조사 추이를 살펴보면 투표일 열흘 남짓 앞두고 치러진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린 후보가 모두 승리했다.
여론조사에서 접전을 보였던 1992년 14대 대선(김영삼 후보 당선)과 1997년 15대 대선(김대중 후보 당선), 2002년 16대 대선(노무현 후보 당선)과 2012년 18대 대선(박근혜 후보 당선)에서도 조금이라도 앞선 후보가 승리했다.
지난 대선에서도 본 투표 일주일 전 갤럽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후보가 39%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38% 지지율을 기록했고, 윤 후보가 당선됐다.
한국갤럽이 지난 20∼22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한 5월 4주차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 응답률 17.8%.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에서 이 후보의 지지율은 45%,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지지율은 36%를 기록했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2∼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9명을 대상으로 한 5월 4주차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무선 100% 자동응답 방식, 응답률 8.3%)에서는 이 후보가 46.6%, 김 후보가 37.6%였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9∼21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5월 4주차 전국지표조사(NBS,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휴대전화 가상번호 전화면접 100%, 응답률 26.7%)에서도 이 후보는 46%, 김 후보는 32%의 지지율을 보였다.
주목할 점은 이 후보가 지지율 격차가 최근 들어 좁혀지고 있다는 점이다.
5월 3주차에 갤럽과 리얼미터 조사에서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의 격차는 각각 22%p(포인트), 9.5%p 였으나 4주차에는 9%p로 좁혀졌다.
NBS조사에서도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일주일 사이에 22%p에서 14%p까지 좁혀졌다.
이제 남은 기간에 범보수 후보 단일화가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