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해마다 고독사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고독사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신임 대통령 당선자는 사회적 안전망 강화를 제1의 과제로 삼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의 ‘무연고 사망(고독사)자’ 수는 3년 사이 2배로 늘었다.
2020년 659명에서 2021년 856명, 2022년 1천72명, 2023년 1,218명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중에 약 80%는 연고자가 있어도 시신 인수를 거부한 행정상 무연고 사망자이다.
연고자가 시신 인수를 거부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 사유이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5년 평균 장례 비용은 약 1,380만 원(조문객 100명 기준)으로 나타났다.
10년의 격차가 있기에 2025년 현재 평균 장례비용은 물가를 감안하면 2,000만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고독사(무연고 사망)한 고인의 조문객도 많이 찾아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장례비용마저 높아 시신 인수를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해야만 경제적 이유로 시신 인수를 거부하는 사례를 줄일 수 있다.
경제적으로 어려워지면 사회적으로 고립되면서 점차 인간관계가 정리되고 고독사에 이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한 장례업계 관계자는 “고독사 사례를 볼 때마다 안타깝다”면서 “고인의 존엄을 위해서라도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라고 했다.
또다른 장례업계 관계자는 “대선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대선 후보들이 사회적 안전망 강화에도 관심을 가져줬으면 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