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PET news

고령화 영향으로 점점 축소되는 장례식 규모

  • STV
  • 등록 2017.09.20 09:15:10

고령화로 고인 80대 후반~90대…상주도 60~70대
은퇴 후 치르는 장례식에 조문객들 발길 끊겨
새벽 조문은 민폐…장례식장서 도박도 눈치 보여
日 드라이브 스루 조문, 우리나라에도 가까운 미래에 도입될 수도

 

급격한 고령화의 영향으로 장례식 풍속도가 변하고 있다. 

 

빈소에서 영정에 절을 하고도 상주와는 맞절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상주의 나이가 60~70대에 달해 조문객들과 맞절하기가 신체적·체력적인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고인(故人) 또한 80대 후반~90대인 경우가 많다. 고령화가 만들어낸 새로운 장례 풍속도다.

 

또한 빈소를 차리지 않고 바로 화장터로 직행하는 '직장(直葬)'도 늘고 있다. 빈소를 차리고 조문객을 받는 것도 신체적으로나 감정적으로 힘든 행위이다. 고령의 상주들은 이마저도 부담스러워 한다.
 

 


▲전체 인구중 고령화인구(65세 이상) 비중 (통계청 자료)

 

직장에서 은퇴한지 오래돼 부고를 알려도 조문객이 적은 경우도 많다. 이 때문에 무리해서 빈소를 차릴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 장례식장 관계자는 "장례식이 경제적으로 부담돼 빈소 없이 화장터나 장지로 직행하는 경우도 많다"고 귀띔했다. 

 

밤새서 조문을 받거나 조문객들이 고스톱 등 도박으로 장례식장을 밝히는 경우는 드물어졌다. 이제 큰 소리로 고스톱을 치는 조문객들에게 "자제해달라"거나 "돌아가달라"고 요구하는 상주와 유족이 많아졌다. 

 

빈소에서 도박행위를 하며 떠들썩하게 떠들면 이들을 위해 신경써야할 것이 적지 않다. 술이나 안주 등 찬거리를 준비해줘야 하고, 옆에서 한 마디라도 거들어야 하기 때문에 부담스럽다. 

 

이때문에 아예 장례식장 자체에서 유족을 보호하기 위해 새벽 조문을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는 한국 장례문화보다 20년 정도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 일본에서는 이미 흔해진 풍경이다. 일본은 평균수명이 길기로 유명한 국가이며, 이것이 고령화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은퇴 후 장례식을 치러도 조문객이 현저히 줄어들어 떠들썩한 장례식은 이미 사라진지 오래다. 빈소를 차리지 않고 시신을 화장하거나 매장하는 풍습은 이미 광범위하게 퍼져있다. 누구도 이를 두고 예의에 어긋난다고 지적하지 않는다.

 

최근에는 인터넷으로 장례식에 참석하거나 드라이브 스루 조문(弔問)까지 등장해 화제가 됐다. 고령자들은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점에서 많이 쓰이는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조문을 하는 것이다. 전자 방명록을 작성하고, 조의금을 낸다. 그리고 가볍게 합장한 후 돌아가는 것이다.

 

아직 한국정서에는 맞지 않지만 고령화가 더욱 진행되면 우리나라에도 들어오지 말라는 법이 없다.

 

한 장례식장 관계자는 "유족들 연령대가 높아 이런저런 방식(드라이브 스루) 도입을 고려했지만 아직 정서상 거부감이 많아 실행하지 않았다"고 털어놓았다.

 

일본에서는 고령화로 장례건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조문객이 대폭 감소하면서 건당 수익률은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이 조문간 한국에도 나타날 것이기 때문에 장례업계의 시급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김충현 기자>


문화

더보기
임현정, 바흐 평균율 전곡 리사이틀 성료…“피아노는 내 영혼의 도구” 【STV 박란희 기자】임현정의 바흐 평균율 1&2권 전곡 리사이틀이 지난달 29일 오후 5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극소수 피아니스트만 도전하는 히말라야급 레퍼토리인 평균율 1권과 2권을 전곡 암보로 완주한 이례적 공연은 총 240분 동안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48개의 프렐류드와 48개의 푸가, 총 96곡이 담긴 이번 연주는 단순한 교과서적 해석을 넘어 인간의 희로애락, 바흐 음악 속 수학적 구조와 신성한 질서를 섬세하게 그려냈다는 호평을 받았다. 임현정은 “평균율을 사용하여 음악의 모든 조성을 다루며 가장 난해한 작곡법인 대위법을 이용하여 사운드 과학을 최상의 경지로 이끌어 올린 것이 바로 바흐의 평균율이다”라며, “클래식 음악의 교과서이자 음악의 구약성서로 불린다. 지구가 멸망해도 평균율만 있다면 음악을 되살릴 수 있다”고 연주 팜플렛을 통해 전했다. 또한 “수많은 규칙이 존재하는 제약 속에서 황홀한 영감과 직관, 창조력이 담긴 평균율은 자유와 아름다움의 결정체다”라며 바흐의 음악을 향한 경외를 드러냈다. 이번 무대는 바흐의 본질에 가까워지기 위한 임현정만의 접근법이 돋보였다. 특히 "피아노는 내 영혼이 닿는 도구"

지역

더보기
프리드라이프, 상조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 론칭 【STV 박란희 기자】프리드라이프가 상조업계 최초로 호주로 크루즈 여행을 떠난다. 프리드라이프(대표 김만기)는 오는 11월 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을 기념해 6월 한 달간 ‘처음 만나는 호주’ 크루즈 얼리버드 특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프리드라이프가 처음 선보이는 호주 크루즈 여행은 11월 3일 대한항공 직항으로 호주 브리즈번에 도착한 후 세계 최대 규모의 선박을 보유한 선사 로얄캐리비안의 퀀텀호를 타고 7박 8일간 호주 일대를 누비며 관광과 휴양을 즐기는 상품이다. 브리즈번은 호주를 대표하는 제3의 항구도시로 아름다운 섬과 해변을 자랑한다. 브리즈번 강가에 자리한 인공 해변 스트리트 비치에서 물놀이를 즐기거나, 마운틴 쿠사 전망대에 올라 탁 트인 브리즈번 시내를 감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식물이 가득한 도심 정원인 보타닉 가든과 40km의 황금빛 해변이 펼쳐지는 골드코스트 비치, 청록빛 바다와 해안선이 환상적인 에얼리 비치 등 호주를 대표하는 명소들이 즐비하다. 호주 퀸즈랜드주의 대표 휴양도시인 케언즈도 빼놓을 수 없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원시 열대우림 쿠란다는 영화 ‘아바타’의 모티브가 된 원시의 숲으로, 쿠란다 시닉 레일 웨리

연예 · 스포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