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상용 기자】국민의힘이 대선 패배 후 두 달이 가까워지고 있음에도 자중지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야당이 지리멸렬해질 경우 여당의 폭주를 저지할 수 없게 돼 야당의 혁신이 절실한 시점이다.
하지만 부정선거론이나 윤어게인(윤석열 지지)에 심취한 극단 세력이 국민의힘을 물들이고 있어 각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앞서 국민의힘은 안철수 혁신위가 좌절됐고, 윤희숙 혁신위도 좌충우돌한 끝에 뚜렷한 성과없이 종료될 예정이다.
당권주자도 쇄신파 안철수·조경태 의원을 제외하고는 탄핵 반대파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당이 탄핵 이전의 분위기로 되돌아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이미 탄핵과 파면으로 내려졌다. 윤 전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을 선포했다가 역풍을 맞았다.
그럼에도 대선에 출마했던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윤 전 대통령과 선을 긋지도 않았고, 부정선거론으로 논란을 일으킨 전한길 씨에 대해서도 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장관이 당대표에 당선될 경우 국민은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과 절연 의지가 없으며, 여론이나 민심에 전혀 귀를 기울이지 않을 것으로 생각할 가능성이 높다.
선거에서 패배하면 패배 요인을 분석하고, 당의 방향을 패배를 극복하는 쪽으로 꾸리기 마련이다.
그런데도 국민의힘은 친윤계가 TK 출신 송언석 의원을 원내대표로 끌어올렸고, 송 원내대표는 쇄신 분위기를 무마하고 있다.
결국 국민의힘은 친윤계가 여전히 득세하는 와중에 과거 회귀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여론이 원하는 방향과 반대로 가는 당을 지켜보는 중도층은 어떤 생각을 할까. 국민의힘은 쇄신 없이 다시 국민의 선택을 받기를 원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