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 실세로 불리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최고경영자)가 연일 화제를 몰고 다니고 있다.
머스크는 막대한 기부금 등을 앞세워 대선 승리에 큰 공헌을 한 덕에 트럼프 2기 행정부에 신설되는 정부효율부 수장으로 내정된 바 있다.
문제는 그의 오지랖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틀째인 21일(현지시간) 야심차게 ’대규모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일명 스타게이트로 불리는 이번 계획은 오픈AI, 오라클, 일본 소프트뱅크 등과 최대 5000억 달러(약 718조원)을 투입해 AI 인프라를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머스크는 “그들은 돈이 없다”라고 일축했다.
머스크는 “소프트뱅크가 확보한 금액은 100억달러 미만이고, 이는 확실한 출처를 통해 파악했다"며 해당 사업을 평가절하하고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AI 인프라 프로젝트를 발표한 지 몇시간 만에 머스크가 공개적인 의문을 표시했다“면서 ”이는 트럼프와 머스크 사이의 때때로 어색하고 불편한 역학관계를 보여준다“라고 전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에 이어 소통령으로 불리며 트럼프 행정부의 실세로 행동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부효율부 공동수장으로 내정된 비벡 라마스와미는 트럼프 대통령 직후 돌연 사퇴했다.
라마스와미의 사퇴 배경에도 머스크가 관여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머스크는 해외 정치에도 적극 목소리를 내며 관여하고 있다. 유럽 정상들을 향해 ”무능한 멍청이“, ”반민주 폭군“ 등의 인신 공격을 퍼붓자 정상들은 ”관심을 끌기 위해 시비를 거나“라며 불쾌감을 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