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란희 기자】지난주 공개된 중국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의 새로운 AI 모델 ‘R1’에 대한 호평이 미국을 넘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딥시크의 충격으로 미국 AI 개발 주도권이 중국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가능성과 함께 엔비디아의 전성기가 막을 내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애플은 이번 사태의 수혜자로 ‘AI 후발주자’라는 비난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0일 월스트리트저널(WSJ)·BBC 등 주요 외신을 종합하면 딥시크의 AI의 특징은 ‘저비용·고효율’이다.
딥시크는 지난 20일 R1을 공개하면서 개발비용이 600만 달러(약 86억5800만 원) 이하라고 밝혔다.
이는 오픈AI가 엔비디아의 첨단 AI칩을 적용해 최신 챗GPT에 투자한 비용인 1억 달러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오픈AI 등 미국의 주요 AI는 개당 수천만 원에 달하는 엔비디아의 H100등 첨단 AI칩을 사용한다.
미국의 AI칩 대중국 수출 제한으로 인해 첨단 AI칩 사용이 제한된 딥시크는 R1에서 저사양인 H800을 썼다.
BBC는 “서방의 주요 AI 모델은 약 1만6000개의 특수(AI)칩을 사용하지만, 딥시크는 엔비디아의 H800을 2000개만 사용했다고 주장한다”라고 했다.
딥시크 R1은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오픈AI가 지난해 9월 공개한 추론 모델 ‘o1’을 앞섰다. 딥시크의 성능 보고서에 따르면 R1은 총 16가지 성능 평가 항목 중 3개 항목에서 o1보다 높은 성능을 기록했다.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딥시크가 폐쇄형인 오픈AI의 데이터를 도용해 AI모델을 개발했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