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신위철 기자】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정치인을 싹 다 잡아들이라고 지시했다”는 사실을 최초로 폭로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22일 국회에 출석해 또다시 충격 발언을 쏟아냈다.
홍 전 차장은 “정보 관료로서 오랜 경험상 2차 계엄까진 아니더라도 2차 군사 개입 가능성이 대단히 크다고 생각했다”면서 그 근거로 체포 지시 명령에 불응한 본인은 곧바로 경질됐지만 나머지 방첩·특전·수방사령관 등 계엄수뇌부는 한동안 건재했던 것을 지적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홍 전 차장의 단호한 발언에 청문회장이 술렁이기도 했다.
홍 전 차장은 청문회에서 “(계엄 선포 사흘 후인) 12월 6일 오전 11시 30분쯤, 국회 정보위원장에게 2차계엄까진 아니더라도 최소한 2차 군사 개입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한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그는 “제가 군 출신이라 그런데 첫 번째 (국회 무력 진압) 실패했는데 두 번째도 똑같은 방법으로 할까요?”라고 반문하며 “두 번째는 군인들이 거부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들어 (2차)계엄을 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이날 “홍 전 차장 경질은 본인의 판단”이라고 발언한 조태용 국정원장과 달리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의 뜻”이라고 재차 반박했다.
홍 전 차장은 “12월 5일 오후 4시쯤에 원장님이 부르셔서 집무실로 갔는데 평소처럼 굉장히 따뜻한 목소리로 사직서를 내달라고 했다”며 “그래서 ‘예’라고 말씀드렸는데 저도 궁금하잖아요. 그래서 일어나기 전에 이게 대통령의 뜻이냐고 물어봤다”고 했다.
이어 “(조태용 원장이) ‘정무직 인사는 누가 하겠습니까?’라고 했고 저는 그것을 대통령의 뜻이라고 이해했다”라고 밝혔다. 국정원장은 이사권이 없기 때문이다.
그는 “방첩사와 국정원이 (정치인을) 수갑 채워 벙커에 갖다 놓는 일은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면 안 되는 거 아닙니까. 그런 일이 매일 일어나는 나라가 하나 있습니다. 어디? 평양! 그런 일을 하는 기관은 어디? 북한 보위부! 이상입니다”라고 격정토로 하기도 했다.
홍 전 차장의 증언이 계엄 사태로 탄핵 심판을 받고 있는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에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