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에 지지율을 추월 당하자 “탄핵 이후 여유 있게 국정을 리드하지 못한데 대한 실망감이 작용한 것 같다”라고 말했다.
김 전 총리는 “보수 지지층들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보다 훨씬 적극적으로 집결하고 있다”라고 봤지만, 여당이 ‘탄핵의 강’을 건너지 않고는 국민들의 용서를 받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김 전 총리는 지난 20일 사단법인 한반도평화경제포럼이 주최한 영화 ‘하얼빈’ 상영회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최근의 여야 지지율 추이와 관련해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민주당의 지지율이 국민의힘에 역전 당한 데 대해 “민주당이 탄핵 소추 이후 조금 여유 있게 국정을 리드하지 못했던 것에 대한 실망감이 있는 것 같다”라며 “‘윤석열 정권처럼 서두르고, 국민 생각 안 하고 자기 고집대로 하는 것’이라는 실망감이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전 총리는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의 탄핵 등을 거론해 “내가 한 총리 탄핵 반대했다가 얼마나 당했나. 한 총리 정도면 얼마든지 밀당을 할 수 있었던 관계였는데, (탄핵에 이르니) 국민들이 쓸쓸해진 것 같다”라고 꼬집었다.
김 전 총리는 여당의 지지율 상승세에 대해 “보수 지지층들이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보다 훨씬 더 적극적으로 집결하고 (이를 통해 여당) 의원들을 압박하고 있다”라고 했다.
다만 “여당은 탄핵의 강을 건너지 않고는 국민들이 용서를 안 할 것”이라며 “자신들이 지난번처럼 일패도지 하는 상황을 바라지 않겠지만, 계속 탄핵을 반대한다면 지금까지 우리가 합의해 온 민주주의와 법치 이런 것들을 짓밟아도 좋다는 것이라 얘기가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개헌에 대해서는 복잡한 정국에도 불구하고 토론은 계속 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했다.
김 전 총리는 “제왕적 대통령제는 유신헌법의 잔재”라며 “전 세계에 대통령이 계엄해서 헌법 기관을 정지시킬 수 있는 헌법은 우리밖에 없다”라고 봤다.
개헌 방향에 대헛는 “핵심은 4년 중임이 아니라 대통령 권력을 분산하는 것”이라면서 “권력구조 개편과 감사원, 예산권에 관한 부분, 또 선거구제 개편도 반드시 해야 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