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공영장례를 공공장례로 전환해야 합니다.”
무연고 고독사 사망자를 대상으로 치러지는 공영장례를 공공장례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장례업계의 각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공영장례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무연고 고독사 사망자를 대상으로 치러진다. 주로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예산을 편성해 장례를 치른다.
무빈소로 간단히 장례식을 치르고 화장한 다음 봉안을 하는 형태이다.
문제는 지자체별로 예산이 천차만별이라 재정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자체는 예산 편성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게다가 가족 외에 지인이 장례를 치르기도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도 공영장례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없게 만든다.
이에 일각에서는 공영장례를 ‘공공장례’로 전환하고 정부가 이를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역 차원이 아니라 범정부 차원에서 공공장례의 형태로 지원할 경우 정부 예산으로 무연고 고독사 사망자의 장례비용을 편성하게 된다.
물론 공영장례가 하루아침에 공공장례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단 국민적 여론 수렴을 거쳐야 하고 국회 논의 과정도 필요하다.
허나 1인 가구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공영장례의 공공장례 전환을 마냥 비현실적인 견해로 치부해버리기는 어렵다.
만약 공영장례가 공공장례로 전환되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 특정 장례업체가 최저가 입찰을 통해 공공장례 담당 업체가 되면 해당 업체가 무연고 고독사 사망을 도맡을 수 있다.
공영장례를 치르더라도 장례식장을 이용해야 하는 현재와는 다르게 특정 업체가 모든 몫을 가져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장례업계에서는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장례업계 관계자는 “공영장례를 치를 때 정성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공공장례도 장례업계가 나눠서 치를 수 있도록 배려받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특정 장례업체(장례식장)이 모든 포션을 차지하는 상황으로 전환되면 모든 사업자가 곤란해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