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뭘 믿고 상조 가입해? 망하면 어쩌려고….”
10년 전만 하더라도 상조 모집인들이 자주 듣는 말이었다. 딩시 부실한 상조업체가 하루를 멀다 하고 폐업을 하다보니 소비자들이 불안에 떨었다.
회삿돈을 횡령하거나 무리한 투자에 나섰다가 재무 건전성이 악화되면서 간판을 내린 상조업체가 수두룩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선불식할부거래업 정보공개 따르면 2014년 4월 기준 상조업체 수는 259개에 달했다.
이후 상조업계는 혹독한 구조조정을 거쳤다. 부실 업체들이 퇴출되고, 상조 소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를 강화하면서 상조에 대한 신뢰도가 꾸준히 상승했다.
일단 공정위는 상조업체에 대해 선수금 예치 제도를 도입해 회원에 대한 보상 의무를 강화했다.
외부 회계감사를 의무화해 경영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였다. 그간 감시받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던 상조업체들이 회계라는 틀 안으로 들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자본금 15억 원’이라는 기준은 상조업계 기준의 허들을 높였다. 자본금 15억 원을 마련하지 못한 업체들은 기존의 건전한 업체들에 합병되면서 업체들이 내실을 다졌다.
덕분에 2018년 140개에 달했던 상조업체 수는 2023년 4분기에 77개사(선불식 여행업체 포함)까지 줄었다.
상조업계는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면서 신뢰를 쌓았고, 소비자들은 800만명 가입으로 신뢰에 화답했다.
업계에서는 회원 1천만명까지 무난하게 도달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인구 5천만명의 나라에서 상조 가입을 고려하는 인구를 감안하면 ‘장례’에 관해서는 거의 전 국민이 가입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상조업계는 소비자 보호를 넘어 소비자 감동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나서야 한다.
장례라는 국한된 분야에서 벗어나 토털 라이프케어 플랫폼 구축에 집중하고 이를 ‘전 생애 주기 모델’로 확정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