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더불어민주당이 전당대회 시 대의원 투표 비중을 제한하는 ‘대의원제 개정’을 추진하자 비명계가 강하게 반발했다.
총선을 앞두고 계파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민주당은 27일 당무위원회를 열고 차기 전당대회(지도부 선출) 시 현행 대의원, 권리당원 투표 비중을 20대 1 미만으로 조정하는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했다.
현재 민주당은 지도부 선출 시 대의원 30%,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25%, 일반당원 5% 투표룰을 적용 중이다.
하지만 현역의원, 지자체장, 시도당위원장 등으로 이뤄진 소수의 대의원과 당비를 납부하는 권리당원 투표 비중이 차이가 나 강성당원을 중심으로 대의원제 폐지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비명(이재명)계는 대의원제가 축소되면 지역 대표성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강성당원 영향력이 강화된다는 이유로 반발해왔다.
앞서 지난 24일 민주당 지도부는 현역 의원평가 하위권 감점 확대와 함께 대의원제 축소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대의원제의 폐지가 아니라 ‘축소’(비율 하향 조정)이고, 전당대회 전 미리 개정해 향후 갈등을 줄이겠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대표가 나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1인 1표제(대의원제 폐지)에 대한 열망이 큰 건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비명계에서는 차기 전당대회가 9개월 여 앞둔 상황에서 급작스레 대의원제 영향력 감소 개정이 추진된다는 점에서 반발하고 있다.
비명계 김종민 의원은 지난 26일 ‘원칙과 상식’ 주최 토론회에서 “이는 사실상 대의원제를 폐지하겠다는 것”이라면서 “일부 유튜버의 목소리, 팬덤 등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하겠다는 당내 민주주의 포기 선언”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