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임정이 기자】서울에서 고시원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공공요금(전기료·가스비·수도료)이 올라도 너무 올랐다며 하소연하고 있다.
월세와 관리비를 분리해 받는 오피스텔과 달리 고시원은 월세만 받는데, 한 달 월세에 전기료와 가스비, 수도료 등 공과금이 포함돼 있어 공공요금 인상분은 고스란히 고시원이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고시원을 운영하는 이모(58)씨는 어쩔 수 없이 현관에 ‘스토브, 온풍기, 히터 등 전열기구 사용을 금지한다. 사용 시 월 3만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의 공고문을 붙였다. 올해 공공요금이 크게 올라 고시원 운영이 빠듯해진 탓이다. 매달 30만원 정도 나오던 고시원 전기료는 지난달 70만원까지 올라 경악을 금치 못했다고 한다.
또한 이씨는 “세입자 대부분이 기초생활수급자라 정부 에너지바우처 지원금을 받았을 텐데, 조금만 보태 달라고 해도 추가로 부담하지 않는다”며 실토했다.
이에 이씨는 가스비라도 아끼기 위해 그동안 30분 간격으로 20분간 틀던 보일러 가동 간격을 2시간으로 늘리는 등 궁여지책 했다.
그렇다고 월세를 올리자니 세입자들이 다른 고시원으로 떠날까 봐 선뜻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공공요금 폭탄 고지서는 고시원뿐만 아니라 많은 자영업자들에게도 해당되는 사항이다. 이에 자영업자들은 공과금 절감을 위해 동분서주 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손님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난방비 등을 무작정 아낄 수도 없어 속앓이를 앓고 있다.
이처럼 공공요금 인상으로 서민 주거 불안은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시장에서 회자 될 다음 화제는 긴축적 정부 정책에 따른 물가 상승의 경제적 타격 크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에서도 회자 되던 공공요금 인상, 향후 한국에서 중요한 키워드는 물가 안정이라고 본다. 또한 급격한 공공요금 인상의 여파로 수요 축소가 가시화된 만큼, 경기침체 우려를 언급할 수 있겠다. 또 다른 사회적 비용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말이다.
한편 몇 배나 뛴 공공요금에 대해 정부는 “우선 국제 에너지 가격 흐름을 면밀히 봐야 하고, 한국전력 등 에너지 공기업의 적자·미수금 규모 변화도 관찰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원가 회수율이 전기는 70% 초반대, 가스는 60% 정도에 불과하다”며 “이런 구조에서는 시간이 갈수록 미수금과 적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점진적인 가격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 산업 구조나 국민 생활 행태가 에너지 고효율·저소비 쪽으로 바뀌려면 어느 정도 가격 시그널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