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중국 전승절(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행사에 전격 참석을 결정하면서 북한·중국·러시아의 삼각 결속이 주목된다.
반면 중국의 일정한 거리두기로 인해 3자 간의 결속이 큰 파급효과를 거두지는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북중러 3각 편대는 그간 북한과 러시아가 추진해온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군사적으로 밀착한 북러가 ‘대미’ 전선에 중국의 합류를 촉구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은 중러, 북중 양자관계에는 공을 들이면서 북중러 3각 협력에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전승절 행사에서는 북중러가 한 자리에 함께 하는 모습이 연출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입장에서도 대외적으로 3각 편대를 과시하는 게 나쁘지 않은 구도이다.
그러나 중국은 국제질서에 어긋나는 무력 침공 및 군사력 강화에 힘을 싣는 러시아와 북한과 한 데 묶이는 것이 부담스러운 눈치이다.
이에 한국·미국·일본 3각 편대에 맞서 북중러 3각 편대를 구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북한은 이번 전승절에 ‘핵보유국 인정’의 계기로 삼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북한은 최근 담화를 통해서도 ‘핵보유국’ 입지를 강조하고 비핵화 대화에는 관심이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전승절 행사에서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