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조기 대선 정국이 펼쳐지면서 야권 내부에서 경선 방식을 둘러싼 신경전이 강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본격적 경선 준비에 착수한 가운데 10일 비명계와 조국혁신당이 ‘오픈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를 요구하고 나서며 경선룰을 놓고 갈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야권에서 1강 위치를 점하고 있는 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는 지난 9일 대표직을 사퇴하고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민주당은 대선 후보 경선 관리할 선거관리위원회를 출범시켰으며 이번 주 안으로 경선룰을 포함해 경선 일정과 운영방침을 정비한다.
비명계와 조국혁신당은 민주당의 ‘내부 경선’ 방식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김두관 전 의원은 지난 7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국민연합 정권교체’를 이뤄내야 한다”면서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 구도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라고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완전국민경선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김부겸 전 국무총리도 “형식적인 경선으로 감동을 줄 수 없다”면서 완전국민경선을 도입하자고 했다.
조국혁신당은 이날까지 민주당에 오픈프라이머리 수용 여부에 대한 공식 입장을 달라고 요구한 상태이다.
혁신당이 공세를 펴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내부에서도 경선룰을 둘러싼 갈등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대 대선 당시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권리당원 여론조사 50%’ 방식으로 예비경선을 치렀고, 본경선은 국민선거인단 투표 방식으로 진행했다.
비명계는 여론반영 비중을 더 높이자면서 ‘100% 국민 투표’를 요구 중이다.
하지만 친명계가 대다수인 민주당 지도부는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책 연대는 모색하되 오픈파라이머리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