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인해 조기 대선이 현실화되자 차기 대통령의 집무실 위치에 관심이 쏠린다.
세종시, 용산 집무실 외에도 청와대 복귀 등의 의견이 난무하고 있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6월 3일로 조기대선일이 결정되자 대통령 집무실의 위치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일단 더불어민주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진하다가 불발된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을 이재명 대표 지시로 재추진 중이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도 3월 중순 대전을 방문해 “청와대, 여의도 국회를 합친 명품 집무실을 구축해 세종시를 국민통합의 장으로 만들자”라고 제안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이전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여전히 서울이 정치·경제의 중심지로 상징성이 큰 상황에서 세종시로 집무실을 이전하기 위해서는 개헌 등 물밑 작업이 필요하다.
결국 차기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집무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청와대에서 용산 이전에만 3개월이 소요된 것으로 볼 때 당장 다른 곳으로 집무실을 이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용산은 보안 문제에 취약해 다시 청와대로 복귀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청와대가 일반인에게 개방돼 내부 구조가 알려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안 측면에서는 청와대가 특화되어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