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파면까지 122일 간 성숙한 시민들의 의식이 돋보였다.
비상계엄 당시 군 병력을 저지하고 계엄 해제를 유도한 건 시민들 덕분이었다.
파면 이후 집회에서도 단 한 명의 인명피해도 발생하지 않아 ‘민주주의 회복’을 이끌었다.
지난해 12월3일 밤 10시 25분 윤 전 대통령은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놀란 시민들은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 몰려 들어 계엄 반대 의사를 표명했따.
비상계엄 선포 1시간 뒤인 밤 11시 30분께 국회 앞 대로에 1000여 명이 집결했다.
시민들은 군용차량을 막아서는가 하면 담장을 넘어 국회 청사로 진입하려는 계엄군을 저지했다.
경찰에 따르면 당시 현장에서 부상을 입은 사례는 없었다. 시민들은 범법행위 없이 적극적으로 저항했다.
탄핵 반대 측도 광화문 등지에서 집회를 열어 적극적 의사를 표현했지만, 역시 폭력적 행동을 보이지는 않았다.
파면 당일에도 시민들은 질서와 안정을 유지했다. 헌재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 폭력적 상황이 연출될 것으로 우려됐지만, 탄핵 반대 집회에서도 쓰레기와 현수막을 수거하고 자진 해산했다.
탄핵 찬성 측도 마찬가지로 성숙한 민주 시민의 모습을 보였다.
인명 피해가 ‘0’건이었다는 점은 세계에 한국의 민주주의 위력을 과시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탄핵 반대 측이 서부지법에서 폭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들은 서부지법에 무단 침입해 집기를 부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은 검거돼 폭동의 대가를 치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