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란희 기자】
일본 국민 메신저 ‘라인’ 운영사인 라인야후가 한국 자회사 ‘라인플러스’ 떼내기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한국을 뒤집어 놓은 한국 네이버와의 지분 구조 개편 작업 또한 개편 작업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양국 정부까지 나서 논란을 가라앉혔지만 라인야후가 또다시 ‘탈네이버’에 시동을 걸고 있다.
2일 라인야후에 따르면 라인야후는 지난달 31일 ‘2024년 3월 5일 및 2024년 4월 16일 총무성 행정지도에 대한 2025년 3월 31일 제출 보고서’를 일본 총무성에 제출했다.
라인야후가 명시한 두 개의 날짜는 총무성이 개인정보 유출 사고 대응에 문제가 있다면서 행정명령을 부과한 날짜이다.
행정명령을 두 차례 연이어 내린 것도 이례적이었으나 사기업에 ‘자본관계 재검토’까지 지시하면서 논란이 커졌다.
일본 정부가 라인야후에 ‘네이버와의 관계를 정리하라’면서 해외기업의 경영권을 탈취하려는 시도라는 지적이 나왔다.
라인야후는 조치사항을 설명한 보고서를 통해 “네이버 및 네이버클라우드 이용 시스템에 대해선 3월 말 시스템 분리에 의한 인증기반 이용을 정지했다”면서 “국내·해외 자회사 이용 시스템에 대해서도 2026년 3월 말 시스템 분리에 의한 인증기반 이용을 정지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라인야후가 명시한 ‘해외 자회사’는 라인플러스를 뜻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본 IT업계 관계자는 “이번 보고서는 사실상 해외 자회사인 라인플러스를 배제하려는 의도가 담겼다고 봐야 한다”라고 했다.
이러한 해석에 따르면 라인플러스와의 관계 단절을 1년 안에 마무리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라인야후가 네이버 측 이사 축출을 한 데 이어 라인플러스의 기술 위탁관계도 단절하게 되면 네이버가 기술적·조직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통로는 완전히 막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