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신위철 기자】북한이 지난해 러시아에 파병한 1만2000명 규모의 전투병력 중 일부가 탈북민 가족 출신 군인과 범죄로 수감됐던 병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탈북민에 대한 보복조치로 가족 파병이 이뤄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4일 샌드타임즈는 북한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해 10월 특수부대인 폭풍군단 소속 병력을 중심으로 파병 대상이 선발됐다고 전했다.
이 과정에서 군 복무 중 과오를 저질러 징계를 받은 인원과 함께 출신 성분이 불순한 복잡계층도 일부 포함됐다고 전했다.
복잡계층은 한국이나 중국 등 해외로 탈북한 사람의 가족을 의미한다.
소식통은 샌드타임즈에 “인민국 총정치국은 ‘외국에서 진행되는 특별훈련’이라는 명목 아래 선발 지침을 하달했으며, 이 안에는 문제가 있는 인원도 포함하라는 내용이 명시돼 있었다”라고 전했다.
당시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전선, 특히 러시아 남서부 쿠르스크 지역에서 하루 수백 명 이상 사상자가 속출하는 등 고전 중이었고, 북한도 파병 병력이 생존할 가능성이 낮다는 점을 인지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군은 전투 중 부상당한 병력조차 본국 송환 없이 치료 후 다시 전장에 투입하고 있다.
최근에는 평양과 평안도 주둔 부대 등지에서 추가 파병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이 와중에 파병 이후 전사한 북한 병사들의 사망 통지서가 지난해 11월 말부터 가족들에게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당시 모스크바에서 평양으로 향하는 열차를 통해 전사자 시신이 본국에 도착하기 시작했다”면서 “시신 도착과 동시에 장례 절차를 비밀리에 진행했다”라고 밝혔다.
아들의 사망 소식을 통보받은 북한 주민은 부대에 가서 시신을 확인하고 공동묘지에 매장했다.
북한 당국은 유가족들에게 “아들 사망 사실을 발설치 말라” “곡소리 내지 말고 조용히 치러라” 등의 지시를 내렸다.
북한 당국의 함구령에도 불구하고 자식을 잃은 부모들로 인해 여론이 악화되자 북한은 최근 파병군 사망통지서 발급마저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