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상대측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30일간 중단하기로 했지만 여전히 이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 협의로 ‘부분적 휴전안’에 합의했으며, 19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에서 동의를 얻었다.
다음은 후속 협상으로 구체적 공격 금지 대상을 명시해 휴전안을 만들고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와 최종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러시아가 트럼프-푸틴 통화 당시 요구한 대(對) 우크라이나 군사 및 정보 지원 중단 문제를 놓고 미국과 러시아는 이견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과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방어를 위해 미국의 정보 공유를 지속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젤렌스키 대통령의 패트리어트 방공미사일 시스템 지원 요청에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20일 브리핑을 통해 “키이우 정권에 대한 무기 공급은 (미국이) 평화를 이루고 모든 것을 정치적·외교적 해결에 부합하게 만들겠다는 의도를 선언한 것에 어긋난다”라고 반발했다.
앞서 러시아는 미국과 유럽의 대(對)우크라이나 무기 및 정보 지원 중단을 ‘부분 휴전’의 전제로 삼겠다는 뜻을 밝힌 바가 없다.
하지만 이를 공식적으로 부분 휴전의 전제로 제시한다면 부분휴전 협상은 다시 미궁으로 빠져들 수 있다.
18일 미러 정상 통화 이후 미국은 부분 휴전의 대상으로 ‘에너지와 인프라’를 러시아는 ‘에너지 인프라’로 미묘하게 단어가 달랐다.
미국 측은 각자의 입장이 ‘에너지와 인프라’가 진실이라고 강조했고, 러시아도 미국 측의 표현에 문제제기를 하지 않았다.
하지만 러시아가 거론한 ‘에너지 인프라’와 미국이 주장한 ‘에너지와 인프라’는 가리키는 범위를 고려할 때 천지차이이다. 에너지 인프라는 정유 시설, 송유관, 원전 등으로 제한되지만, 에너지와 인프라를 의미한다면 철도, 도로 등까지 모두 포함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