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미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로 분류한 것에 대해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는 큰 일이 아니라면서 진화했다.
우리 정부 부처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힌 것과 온도 차가 감지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18일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와 주한미국대사관이 공동 주최한 ‘변화하는 국제 정세 속 한미 관계의 발전 방향’을 주제로 한 좌담회에서 조셉 윤 대사대리는 민감국가 지정에 대해 “마치 큰 문제인 것처럼 상황이 통제불능으로 된 것이 유감”이라며 “큰 일이 아니다”(it is not a big deal)라고 했다.
윤 대사대리는 “연구하기 위해 이곳(실험실)에 가는 한국인들이 너무 많아서 일부 사건이 있었고, 그래서 이 명단이 만들어졌다”면서 “한국이 (민감국가) 명단에 오른 것은 일부 민감한 정보에 대한 취급 부주의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민감국가 리스트라는 건 오로지 에너지부의 실험실에만 국한된 것”이라면서 “이런 민감한 정보는 실험실 밖으로 나가면 안 된다”라고 강조했다.
외교부 또한 앞서 17일 민감국가 지정 배경에 대해 보안사고를 거론한 바 있다.
외교부는 “미(美) 측을 접촉한 결과, 미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 최하위 단계에 포함시킨 것은 외교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인 것으로 파악됐다”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한국이 발칵 뒤집혔는데도 미국 측은 ‘큰일이 아니다’라면서 대수롭지 않게 반응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동맹국인 한국의 불안함을 잠재우는 한편, 리스트에서 삭제하지 않음으로써 경고의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