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24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뉴욕 유엔총회 현장에서 사람들의 눈을 의심케 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규탄하는 결의안 표결에서 미국이 ‘반대표’를 던진 것이다.
민주주의 가치 동맹을 중시하고 독재 국가들을 막는 데 앞장서왔던 미국이 가치 외교를 버리고 결의안에 반대한 러시아, 북한, 이란 등과 같은 편에 서 충격을 줬다.
미국은 우크라이나 결의안에 담긴 ‘러시아의 침략’ 표현에 반대하고 이를 제거한 자체적 결의안을 발의했다.
외신에 따르면 미국의 결의안은 러시아의 위법 행위를 거론한 우크라이나 결의안 대비 훨씬 짧을 뿐 아니라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대해서도 우려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다.
미국은 다른 유엔 회원국들에 미국의 결의안을 지지하라고 촉구했으나 우크라이나는 이러한 제안을 거부했다.
우크라이나 결의안은 표결 참가국 193개국 중 93표의 찬성으로 가결됐다. 그런데 반대표를 던진 18개국 가운데 미국이 포함됐다. 미국은 러시아, 북한, 이란 등과 함께 결의안을 반대하는 국가로 남게 됐다. 러시아와 기조를 같이 하는 중국도 국제사회 여론을 고려해 기권을 한 상황이었다.
미국이 내놓은 자체 결의안은 원안이 거부됐으며, ‘러시아 침략’ 내용이 담기도록 바뀌었다. 이 수정안도 압도적 찬성을 업고 통과됐지만 미국은 기권했다.
미국이 러시아와 같은 편에 서면서 이제 국제사회에서 가치외교를 찾아보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은 그간 세계의 경찰국가를 자처하며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을 방어하고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비용을 들였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을 외치며 가치보다는 이익에 몰두해 국제질서가 근본적인 전환점에 놓이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