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20년 가까이 미국 공화당 상원을 이끌어온 미치 매코널 원내대표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비판했다.
공화당 대선후보인 트럼프 전 대통령은 타국 분쟁에서 발을 빼려는 ‘고립주읠’를 표명하고 있는데 이 같은 태도가 미국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매코널 원내대표는 2차 세계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인 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에 ‘우리는 1930년대 실수를 반복할 수 없다’는 제목의 글을 실었다.
이 글을 통해 그는 “유럽 열강과 미국이 독재자의 부상을 유화와 방관으로 대응하는 바람에 세계가 전쟁(제2차 세계대전)에 빠지고 수백만 명이 숨졌다”라고 했다.
그 배경에는 유럽 우방국의 운명이 미국의 안보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본 미국 고립주의의 영향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1930년대 우리 대응을 방해한 세력이 미국에 다시 등장했다”며 “이들은 전쟁 전 고립주의를 되살리는 한편 전후 평화를 유지해 온 동맹 제도의 기본 가치를 부정하려 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러시아, 중국, 북한, 이란이 신흥 독재국의 축으로 부상했지만 미국 내에서는 고립주의 기류가 강하다고 봤다.
매코널 원내대표가 고립주의의 구심점으로 겨냥한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으로 보인다. 그는 러시아에게 침공 당한 우크라이나를 도울 의지가 없는데다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의 역할을 폄하하기까지 한다.
매코널 원내대표는 “지역 분쟁이 가장 강하고 부유한 국가(미국)에 별 영향을 주지 않으리라는 망상에서 고립주의자들이 깨어나게 하는 데 일본의 진주만 기습 같은 재앙이 또 필요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매코널 원내대표는 상원 사상 최장수 원내대표로 올해 82세인데, 오는 11월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