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임정이 기자】지난해 서울에서 인근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간 전입 인구가 3만 5000명 초과하면서 인구 순 유출 현상이 33년째 행렬이 계속됐다. 굉장히 충격적인 지표다. 대다수 전출자는 경기도로 이동했는데, 비싼 서울 집값에 인근 수도권으로 탈출하는 현상이 고공행진 하고 있다. 이러한 파격적인 주제가 화두로 던져졌다는 사실만으로도 상당히 고무적이다.
31일 뉴스1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의하면 2022년 서울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출한 인구는 총 123만 7000명으로 전입 인구 120만 2000명을 3만 5000명가량 앞서면서 인구 순유출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서울 지역의 인구 순유출 현상은 지난 1990년부터 33년째 지속되고 있다. 양질의 교육 환경과 직업 환경을 이유로 인구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지만, 높은 집값에 결국 서울을 빠져나가는 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된다.
지난해 '교육'과 '직업'을 이유로 서울에 전입한 인구 순유입 규모는 각 4만 9000명, 3만 2000명 규모였다. 반면 '주택'을 이유로 빠져나간 인구 순유출 규모는 5만 9000명이었고, '가족'과 '자연환경'을 이유로 하는 인구 순유출 규모도 각각 4만 3000명과 1만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의 집값과 환경으로 인해 실수요자들은 보트의 가장 가까운 상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난해 서울 전출자의 60.0%가 향한 곳이자 각광받은 곳은 경기도다. 그 뒤를 이어 인천(9.4%), 강원(3.9%) 지역이 행렬이 지속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서울의 비싼 집값을 이유로 전출자들이 경기도로 향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서울의 인구 순유출 현상은 두드러지고 있지만, 경기와 인천 등 나머지 수도권 지역은 인구 순유입 현상이 나타나면서 수도권 전체 인구 유입량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수도권의 경우 경우 수요가 항상 꾸준하게 많을 수 밖에 없고, 거래도 잘 되어 언제든지 되팔고 싶을 때 되 팔수 있으며 경기가 불안정한 상황에도 가격방어가 탄탄하고 가격 상승세도 가장 먼저 반영돼 선호도는 높을 수 밖에 없다.
반면 지난해 경기도 전입 인구는 164만 6000명으로 160만 2000명의 전출 인구를 앞서 4만 3000명의 인구가 새로 유입됐다. 인천의 경우에도 39만 5000명 전입, 36만 7000명 전출로 총 2만 8000명 인구가 순유입 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수도권 전체(서울·인천·경기)로 보면 두 지역 인구 순유입 규모가 서울 순유출 규모를 상쇄해 3만 7000여명이 증가했다.
이 같은 수도권 인구 순유입 현상은 지난 2017년부터 6년 연속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인구 고령화와 지난해 금리인상과 대출규제 영향으로 전국 이동 인구가 감소하면서 수도권 순유입 규모는 감소 되는 양극화 바람이 불었다. 급격한 금리인상의 여파로 서울 수요 축소가 가시화된 만큼, 경기침체 우려를 언급할 수 있다.
수도권 인구 순유입 규모는 지난 2017년 1만6000명에서 지난 2020년 8만8000명까지 치솟았지만, 지난 2021년 5만6000명, 지난해 4만명 미만의 규모로 대폭 감소했다. 역시 피부로 느껴질 만큼 감소한 수치다.
주택의 판도가 바뀌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거센 풍랑이 예고되는 2023년이지만, 이 시기를 잘 버티고 나면 또 한번의 비약적인 도약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