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횡성군·여주시 등 3개 자치단체 나서 공동화장장 건립
1964년에 건립된 원주시 화장시설은 노후하고 협소해 시민 불편이 컸다. 화장로가 2기밖에 없을 정도로 규모가 작다. 34만 여명(2016년 11월 기준)에 달하는 지역주문의 화장 수요조차 소화하지 못하고 버거워한다.
원주 인근 지역 주민들은 타지역으로 원정화장을 떠나야 할 정도로 불편을 겪어왔다.
이에 원주시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인접한 자치단체인 강원 횡성군과 경기 여주시에 화장 시설 공동건립을 제안했다.
세 자치단체는 지난해 협약후, 공동 화장시설을 원주시 흥업면 사제리 일대에 건립하고 있다.
세 자치단체가 머리를 맞대고 도 경계에 화장장을 건립하기로 한 결정은 지자체 간 상생협력 모범 사례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원주시 관계자는 "예산 절감 효과가 큰 지방 상생의 대표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지역에 위치한 서남권 추모공원 또한 공존의 대표적 모델로 꼽히고 있다.
서남권 추모공원은 현재 정읍시와 고창군, 부안군, 김제시 등 4개 시·군이 공동 운영하고 있으며, 정부에서 5억원의 인센티브까지 받을 정도로 각광을 받았다.
물론 서남권 추모공원도 개장하기까지 우여곡절을 겪었다. 4개 자치단체가 추모공원 건립의 뜻을 모았지만 입지 선정 과정에서 번번이 "내 지역은 안 된다"는 님비(NIMBY) 현상에 부딪쳤기 때문이다.
주민공모를 통해 입지선정 문제를 해결하는 듯 했으나 인접해 있던 김제시가 이에 반발하고 나서면서 파행을 겪었다. 김제시와 나머지 지자체의 감정싸움으로까지 비화되는 등 문제가 확산됐다.
전북 갈등조정자문위원회가 조정안까지 내놨지만 이조차 수용되지 않으면서 위기감이 조성됐다.
진통 끝에 김제시를 제외한 3개 지자체가 2015년 11월에 추모공원 개관을 강행했다. 김제시는 위치 변경이 불가능한데다 화장장을 이용해야 하는 김제시민이 원정화장을 떠나야 하는 불편이 겹치자 추모공원 운영에 참여했다.
서남권 추모공원은 성공적인 자치단체 협력사업으로 평가받으면서 각 지자체의 벤치마킹 모델이 되고 있다.
원주시 공동 화장장과 서남권 추모공원은 현재까지 성공적 모델로 평가받고 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첫 삽조차 뜨지 못한 장사시설도 있다. 경기 화성시 광역화장장이 그 주인공이다.
경기 화성시가 부천·안산·시흥·광명과 함께 추진 중인 광역화장장(함백산 메모리얼파크) 조성은 부지 인근의 서수원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한발짝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서수원 지역 주민들은 "재산권·환경권 침해" 등을 이유로 광역화장장 조성을 결사반대하고 있다.
주민들은 자녀들의 등교 거부를 시작으로, 행정심판을 청구하고, 감사원에 공사의 적법성을 따지는 감사까지 청구를 하는 등 광역화장장 조성을 결사적으로 저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화성시와 서수원 주민들이 법정 공방을 이어가면서 광역화장장 조성이 무기한 연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