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이영돈 기자】성 비위 사태로 지도부가 총사퇴한 조국혁신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을 앞두고 비대위원장 인선을 두고 진통을 겪고 있다. 특히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이 직접 비대위원장을 맡을지 여부가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논란이 가열되는 모습이다.
혁신당은 이번 주 내 비대위를 꾸린다는 계획이지만, 의원총회 논의가 연일 이어지면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8일에도 의총이 열렸으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9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당은 의총에서 의견을 모은 뒤 당무위원회 의결을 거쳐 비대위를 공식 출범시킬 방침이다. 백선희 원내대변인은 "비대위 구성 논의를 숙성 중"이라며 "이번 주엔 당무위를 열어 비대위를 출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국 원장의 거취는 이번 사태와 맞물려 있다. 그는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풀려난 뒤 정치 활동을 재개했으며, 당은 애초 오는 11월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그를 대표로 추대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성 비위 사건으로 지도부가 무너진 뒤 비대위 체제 전환이 불가피해졌다. 조 원장은 "사건 당시 수감 상태로 당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개입할 수 없었다"고 밝혔으나, 당내에서는 이를 책임 회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당 내부에서는 의견이 갈린다. 조 원장이 직접 비대위를 맡아 당의 혼란을 수습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사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은 만큼 전면에 나서는 것은 정치적으로도 부담이라는 반론이 공존한다. 백 대변인은 "모든 상황을 다 열어 놓고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피해자 측의 반대도 변수다. 피해자 측 대리인인 강미숙 변호사는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도의적 책임 내지 조직 운영·관리를 제대로 못 한 것에 대해 누군가 책임을 져야겠지만 피해자한테 '무엇을 원하느냐'고 묻는 게 순서"라며 "여전히 우리한테는 아무것도 묻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지도부 총사퇴에 대해 "폭력적으로 느껴졌다"며 "떠나는 피해자들은 내가 먹던 우물에 침 뱉고 떠난 꼴"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조 원장의 비대위원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제3자가 더 낫다는 생각"이라며 "조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으면 그의 의견이 가장 우선시 될 텐데 그것보다는 좀 더 수평적인 구조로 제3자 위원장이 더 낫겠다"고 밝혔다. 현재 조 원장은 피해 당사자였던 강미정 전 대변인과 직접 만나기 위해 접촉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피해자 측은 여전히 부정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