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형석 기자】조국혁신당이 당내 성 비위 사건 논란 끝에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은 7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가해자에 대한) 관용 없는 처벌과 온전한 피해 회복을 위해 저와 최고위원 전원은 물러난다"며 지도부 총사퇴를 선언했다. 그는 "대응 미숙으로 동지들을 잃었다"며 "피해자분들께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김 권한대행은 "혁신당은 신생 정당으로서 대응 조직과 매뉴얼조차 없었다"며 "절차만 중시하다 마음의 상처까지 보듬지 못했다. 모두 제 불찰"이라고 자책했다. 황현선 사무총장 역시 별도 기자회견에서 "참담한 심정을 금할 길이 없다"며 사퇴를 밝혔다. 그는 "조사와 조치를 지연시킨 것이 아님을 말씀드린다"며 "조국 원장과 지지자들에게도 사과드린다"고 덧붙였다.
이규원 사무부총장은 유튜브 방송에서의 2차 가해성 발언 논란 끝에 사퇴했고, 사건이 발생한 노래방 현장 동석자 등도 당무 수행이 정지됐다.
이날 긴급 의원총회에서 당 의원들은 비대위원장 인선 문제를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하고 8일 의총에서 재논의하기로 했다.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이 직접 맡아야 한다는 주장과, 오히려 당과 본인 모두에게 부담이라는 반론이 맞섰으며 원로 인사 영입론도 제기됐다.
백선희 원내대변인은 "비대위의 원칙은 신뢰 회복과 혁신"이라며 "인선은 모든 경우의 수를 열어놓고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강미정 전 대변인이 피해자 불이익을 주장하며 탈당을 선언하면서 사태는 커졌다. 조국 원장은 사건 당시 옥중에 있어 관여할 수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당 안팎에서는 책임 회피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일각에서는 지도부 총사퇴가 '조국 지키기' 성격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혁신당은 오는 11월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조 원장을 대표로 추대할 방침이었으나, 이번 사태로 그의 정치적 행보에도 영향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