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이영돈 기자】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3일 발표한 유권자 인식조사에 따르면, 지난 대선에서 후보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소로 TV 대담·토론회 및 방송연설을 꼽은 응답자가 36.3%로 가장 많았다.
이번 조사는 중앙선관위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달 4일부터 24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543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태블릿을 활용한 대면면접조사(TAPI)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지 후보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 경로로는 방송에 이어 △언론 보도(20.0%) △가족·지인 등 주변인 영향(14.4%)이 뒤를 이었다.
후보 선택 시 중시한 기준으로는 ‘능력·경력’이 31.2%로 가장 높았고, ‘정책·공약’(24.3%), ‘소속 정당’(21.6%) 순이었다.
한편 선관위에 대한 신뢰도는 이전 조사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선관위의 활동 및 정치적 중립성·공정성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52.0%로, 20대 대선 당시(38.6%)보다 13.4%포인트 상승했다.
이번 대선에서 사전투표에 참여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36.3%, 본투표에 참여했다는 응답은 63.6%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30대에서 사전투표 비율이, 60대·70대에서는 본투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사전투표 응답자 가운데 “사전투표가 없었다면 투표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25.9%로, 이는 20대 대선 당시보다 10.6%포인트 오른 수치다.
또한, 선관위가 부정선거 의혹 대응을 위해 이번 대선에서 처음 도입한 공정선거참관단에 대해 “알고 있었다”고 답한 비율은 67.5%였다. 이들 중 82.7%는 해당 참관단의 활동이 “선거의 투명성과 신뢰성 강화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선관위가 향후 가장 중점을 둬야 할 과제로는 ‘투·개표 등 선거사무의 공정한 관리’를 선택한 응답이 40.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포인트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요청하시면 그래프나 카드뉴스형 인포그래픽도 함께 제작해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