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형석 기자】국민의힘 전당대회 구도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을 둘러싼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갈리고 있다. 대선 당시 탄핵에 반대했던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장동혁 의원이 잇따라 당권 도전을 선언한 데 이어, 탄핵에 찬성했던 조경태·안철수 의원이 맞불을 놓으며 ‘찬탄 대 반탄’ 구도가 형성됐다.
김 전 장관은 출마 회견에서 윤희숙 혁신위원장의 인적 쇄신 요구를 비판하며 "당이 쪼그라드는 방향으로 혁신한다면 반은 혁신이지만 상당한 자해 행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한길씨 입당에 대해서도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입당을 받아들여야 하고 문호를 개방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동혁 의원 역시 이날 SNS에 글을 올려 "일부 낡은 언론매체와 탄핵에 찬성했던 내부 총질 세력이 탄핵에 반대했던 수많은 국민과 국민의힘 그리고 나를 극우로 몰아가는 꼴을 더는 지켜볼 수 없다"며 "반드시 당 대표가 돼 당과 당원을 모독한 자들에 대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조경태 의원은 이날 회견에서 “우리 당을 백척간두의 위기로 몰고 간 세력들을 청산하는 데 주저하지 않겠다”며 쇄신을 강조했고, 안철수 의원은 "보수정당인 우리가 '친길계, 길핵관' 등 극단세력에 점령당해 계엄옹호당이라는 주홍 글씨를 영원히 안고 침몰하면 안 된다"고 직격했다.
한동훈 전 대표도 당 쇄신을 주장하며 "대선 후 반성과 쇄신이 아니라 극우 인사는 입당시키고, 당의 쇄신을 요구하면 징계하겠다고 엄포를 놓는 적반하장식 역주행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이처럼 찬탄파 주자들은 ‘극우 연대’ 우려를 제기하며 혁신과 세대교체를 부각시키는 반면, 반탄파는 ‘인적청산’을 ‘내부 총질’로 규정하며 보수 통합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당대회는 단순한 세대교체를 넘어 보수의 노선과 정체성을 둘러싼 격돌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커졌다.
한편 윤 전 대통령 지지를 선언했던 전한길씨는 “출마 같은 것 안 한다. 다만 저와 평당원들의 요구를 들어줄 수 있는 후보에 대해 영향력은 행사할 것”이라고 밝히며 간접적인 행보를 예고했다. 전씨는 지난달 9일 입당했으나, 당헌상 피선거권 요건을 충족하지 않아 출마는 불가능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