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신위철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었던 관세정책이 오히려 미국의 발목을 잡는 상황으로 이어져 미중 관세협상을 통해 철회했다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12일(현지시간) 전했다.
NYT는 ‘미중 관세협상은 트럼프의 공격적인 관세정책의 한계를 보여준다’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제품에 부과한 145%의 관세가 글로벌 무역 질서를 어지럽혔다”면서 “그 결과 중국에 경제적으로 심대한 타격을 준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라고 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관세를 부과했다가 수개월만에 철회하며 미국의 통상정책이 세계에 얼마나 큰 타격을 줄 수 있는지를 보여줬지만, 또한 그와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의 접근법이 가진 한계까지 드러냈다”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재집권 이후 단행한 공격적 대중 관세정책에서 ‘유턴’한 뒤 중국과 대폭 관세 인하에 동의한 건 미국 경제 상황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관세 폭탄’으로 중국과 교역이 사실상 중단된 상황에서 미국은 1분기 경제가 코로나19 이후 처음 역성장했고, 소매업체 매장의 물건이 조달되지 않는 등 치킨게임의 패자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자 전격 휴전을 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집권 이전 대비 중국의 관세율이 높아 관세 수입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145% 관세를 부과하고 불과 한 달 만에 115%포인트를 인하한 건 중국 측이 일정부분 승리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중 간 무역 합의에 대해 “우리는 (무역 관계에서) 중국과 완전히 리셋(재설정)하는 데 성공했다”라고 자평했다.
다만 미국이 전격적으로 무역전쟁에서 회군하면서 미국은 실리를 중국은 명분을 챙겼다는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