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신위철 기자】마약 청정국 지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던 한국이 ‘글로벌 마약 주요 판매 창구’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셜미디어와 암호 화폐 등으로 비싼 값에 간편하게 마약을 유통할 수 있는 한국이 마약상들의 새로운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마약류 범죄 확산 저지를 위해 범정부 특별단속에 나섰다.
18일 대검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마약사범 2만3022명 중 공급사범 비율은 33.6%(7738명)에 달했다.
이 같은 수치는 가장 많은 마약사범이 덜미를 잡힌 2023년(33.1%)보다 높으며, 2004년(16.0%)과 비교할 때 두 배를 웃돈다.
마약공급사범 비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건 한국이 주변 국가들 대비 마약 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다.
한국은 일본과 함께 아시아에서 마약 가격이 가장 비싼 지역으로 거론된다.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에 따르면 2022년 국내 필로폰 g당 소매가는 300달러(약 43만원)로, 미얀마(10.39달러)나 태국(19.13달러) 등 동남아시아 국가 소매가 대비 수십배 비싸게 거래된다.
이에 동남아와 중국 마약상들은 코로나19 당시 국경 단속이 강화되면서 쌓아뒀던 마약을 한국 시장에 대량으로 유통시키고 있다.
국내에서 단속된 외국인 마약사범은 2018년 948명에서 2023년 3232명으로 5년 만에 3배 이상 늘었다.
소셜미디어와 암호화폐 등 가상자산도 한국의 마약 유통에 적잖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비대면으로도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16일부터 60일간 마약류 범죄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범정부 특별단속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