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 보복하지 않고 관세 인하를 요청한 국가들과 협상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했다고 밝혔다.
9일(현지시간)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 직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주식시장의 급락 때문에 상호관세를 유예 했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많은 요청이 있었고 75개가 넘는 국가가 우리에게 접촉해왔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베센트 장관은 “각 국가에 대한 해법은 맞춤형으로 할 텐데 시간이 약간 걸릴 것이고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 싶어한다. 그래서 90일 유예한 것”이라고 했다.
베센트 장관은 미국이 지난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너무 많은 국가가 협상을 요청해 행정부가 압도됐다면서 “우리는 그들이 최선의 협상안을 가지고 올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했다.
상호관세 유예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을 신경 쓰고 있으며 우리가 성의 있게 협상하고 싶어 한다는 신호를 보낸다”라고 강조했다.
베센트 장관은 미국에 보복하지 않은 국가는 지난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이 ‘상한’(ceiling)이라면서 유예 발표를 통해 일시적으로 적용된 10%가 하한(floor)이라고 했다.
관세 유예가 품목별 관세에도 적용되느냐는 질문에는 “아니다. 상호관세에 적용된다”라고 답했다. 이러한 관세 유예가 캐나다와 멕시코에도 적용된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통해 무엇을 얻으려고 하느냐는 질문에는 알래스카 액화 천연가스(LNG) 사업을 사례로 들고 한국, 일본, 대만 등이 해당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댈 것이며, 이 사업에서 채굴한 LNG 상당량을 구매하는 데 관심을 보인다고 말했다.
베센트는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한 중국에 대해서는 “미국이 가진 무역 문제들의 가장 큰 원천”으로 규정했다.
미국의 관세 장벽에 수출길이 막힌 중국산 제품이 이미 유럽 등으로 유입되었다고 강조하고 “전 세계에 문제가 되고 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