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한국은 유독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사회이다. 일탈을 허용하지 않고 타이트한 도덕 기준에 의해 살아가는 사람들은 스트레스 지수가 극에 달하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통계청의 ‘2023년 사망 원인 통계’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7.3명이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 비교를 위해 연령 표준화를 거친 자살률은 24.8명으로, OECD 전체 평균(10.7명)의 2배가 넘는 수치이다. 2위인 리투아니아(2022년)도 17.1명으로 7명이나 적다.
사회적 재난도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2022년 이태원 할로윈 참사로 159명이 시망했으며, 2023년 말에는 무안공항에서 제주공항 비행기가 활주로 이탈로 인해 179명이 사망했다.
자살, 사고사 외에 자연사도 있다. 자연사는 그나마 천수를 누리고 떠난다는 점에서 참작의 여지가 있지만 유족의 입장에서는 슬프지 않은 죽음이 없다.
심리 전문가들은 “유족은 심리적으로 화상을 입은 사람”이라고 말한다. 자연사도 유족에게 충격을 주지만 자살·사고사의 경우는 더더욱 큰 충격을 받게 된다.
자살자 유족의 경우는 ‘자살 생존자’라고 불릴 정도로 트라우마를 겪으며, 사고사도 고인을 잊지 못해 거대한 충격을 감내해야 한다.
정부는 재난 발생 시 국민 정신건강이 악화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국가트라우마센터’를 설치하고 운영 중이지만 모든 유족을 보살피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에 상조·장례업계 차원에서 유족의 애도 심리상담을 위한 지원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상조업계 관계자는 “애도 심리상담이 필요하다는 건 업계에서도 공감대가 있다”라면서도 “현실적으로 당장 지원하는 건 비용 문제 등으로 용이하지 않다”라고 말했다.
장례업계 관계자는 “장례식이 3일장 모델로 정착된 상황에서 시간을 따로 빼 애도 심리상담을 진행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라면서 “다만 특정 장례식장에서 도입돼 효과를 거둘 경우 검토하는 장례식장이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