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광역화장장 정부 승인 받아
내년 착공해 2018년 완공 목표
원주시, 횡성·여주와 광역화장장 설립 추진
화성시의 광역화장장 건립이 정부의 조건부 승인을 받은 가운데 강원 원주서도 광역화장장 설립을 위한 움직임이 구체화 되고 있다. 원주는 전북의 '서남권 추모공원'을 롤모델로 삼고 지역 상생 화장장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화성시(시장 채인석)는 매송면 숙곡리 일원에 건립 예정인 종합장사시설 '함백산메모리얼파크'가 국토교통부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국토부는 다만 주민과 지속적으로 협의해야 한다는 단서조항을 달았다.
경기도는 '2016년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안'을 통해 메모리얼파크 부지면적은 14만8553㎡ 줄어든 21만4606㎡로, 건축연면적은 지하주차장 증설 등 1505㎡ 늘어난 1만5533㎡로 수정해 국토부에 제출했다. 화성시는 이번 국토부 승인으로 올 하반기 토지보상을 실시하고 내년에 공사에 착수해 2018년까지 장사시설을 완공할 계획이다.
앞서 화성시는 화장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화장장이 들어설 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서수원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 직면했다. 주민들의 반발은 자녀들의 등교거부 사태와 시위로 이어져 화성과 수원의 감정싸움으로까지 번진 바 있다. 하지만 정부가 화성시의 계획을 승인하면서 광역화장장의 첫 삽을 뜰 수 있게 됐다.
화성시가 수원과의 갈등 끝에 광역화장장 건립에 한 발짝 내딛은 가운데 강원 원주에서도 광역화장장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원주시(시장 원창묵) 광역화장장은 원주시 흥업면 사제리 일대 11만8976㎡ 부지에 화장로 7기와 봉안당 1만 위, 장례식장 5실 등을 조성하는 추모공원 사업이다. 사업비는 총 254억원으로 인구비례에 따라 원주 172억원, 횡성 24억원, 여주 58억원을 각각 분담할 예정이다.
▲ 원주 추모공원 조감도
원주시, 여주시, 횡성군 3개 시군이 사업비를 분담하여 추진하는데 여주시는 시의회의 반대로 참여하지 못하다가 최근들어 의회의 승인을 얻어 사업에 합류하게 됐다. 이번 여주시의 합류 결정으로 특히 여주시민들의 시름이 덜어질 것으로 보인다. 여주는 화장장이 없어 대다수가 용인시나, 충북 제천시, 충주시 등 근처 도시 화장장을 이용해왔기 때문이다.
원주 광역화장장이 롤모델로 삼고 있는 모델은 전라북도의 서남권 광역화장장이다. 전북 서남권 추모공원은 정읍시와 부안·고창군이 지난해 11월 정읍시 감곡면 통석리 4만여㎡ 터에 153억5천만원을 투입해 문을 열었다.
정읍시(시장 김생기)에 따르면 화장장을 공동으로 건립하여 시와 군이 각자 추진했을 때보다 건립비용 100억원씩 300억원, 주민에게 인센티브로 제공해야할 지원기금 100억원씩 300억원 등 600억원 가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봤다. 이 사업은 보건복지부(2012년), 행정자치부(2014년), 국민대통합위원회(2014년)로부터 우수 사례로 선정될 정도로 모범적인 화장장 사례로 꼽힌다.
정읍시와 부안·고창군은 화장장이 없어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는다는 민원에 이 사업을 추진했다. 원주시와 횡성군, 여주시도 이 같은 동기에서 광역화장장을 추진 중이다.
정부의 인가를 받은 화성 광역화장장과 사업을 추진 중인 원주 광역화장장이 서남권 화장장처럼 지역상생 공동사업으로 갈 수 있을지 시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충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