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보수 입장에서는 ‘굴러온 돌’이다.
문재인 정권이 키운 윤 대통령은 단숨에 대권을 차지했고, 한 대표는 법무부 장관에 임명되면서 ‘정권의 황태자’임을 분명히 했다.
두 사람은 보수의 희망이 되었다. 문 전 대통령 퇴임 이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항마를 찾던 보수 진영은 윤 대통령에게 권력을 쥐어주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강골검사의 성공’에 취해 좌고우면하지 않고, 불도저식으로 밀어붙이는 국정운영을 했다.
정치인은 정책적 능력 외에도 쇼를 통해 국민들의 마음을 다독여야 함에도 익숙하지 않다며 이를 거부했고, 줄다리기 협상이 필요함에도 야당과 소통을 거부했다.
물론 이 대표를 중심으로 한 민주당이 입법 폭주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협상이 마뜩찮을 순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도층 및 야당 지도자를 달래기 위해서는 이 대표와 만나는 모습을 보여줘야 했으나 총선 대패 이후 딱 한 번 만났을 뿐이다.
윤 대통령과 한 대표는 힘을 합쳐 국정운영을 하고 보수의 미래를 제시했어야 함에도 불통으로 일관했다.
윤 대통령은 자신에게 거슬리는 건 무엇이든 치우려 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 위원장,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나경원 의원 등을 줄줄이 내쫓거나 외면했다.
면박을 주고 재기불능 상태로 만들었다. 검사 위주의 인적 운영은 ‘나중에 정권이 위험해지면 어쩌려고 저러나’라는 우려를 절로 자아내게 만들었다.
한 대표가 뒤늦게 윤 대통령과 대립하며 희망의 불씨를 살려보려 했으나 역부족이었다. 대통령이 폭주하는 데 소수 여당의 한줌도 안 되는 지지세력을 가진 한 대표로서는 어떤 것도 할 수 없었다.
윤 대통령은 정치적으로 파산했고, 한 대표 또한 정계은퇴의 위기에 몰렸다. 이 모든 게 두 사람의 후과다. 자업자득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