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로 인해 내부 민심이 악화되고 있다.
중국에 최고 145%의 관세를 부과하는 관세정책을 펴면서 인플레이션 경고가 커지는 건 물론 일자리 감소와 미국 성장률 둔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미국 상무부가 지난 16일 발표한 지난달 미국의 소매판매를 보면 트럼프 정부 관세 정책은 경제 활성화를 유도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미국 소매판매는 7349억 달러로 전월 대비 1.4%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하지만 이러한 소매판매 증가는 관세정책으로 인한 미국 경제의 활성화가 아닌 사재기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라 물가 상승이 전망되자 최대한 물품을 구매해 소비가 일시적으로 증가했다는 것이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가 인플레이션뿐만 아니라 실업률도 상승시킬 수 있다는 경고도 제기됐다.
신용평가사 S&P는 올해 미국의 월간 일자리 증가가 전월 대비 20만명 이상 증가에서 10만명 미만 증가 수준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 16일 시카고 이코노믹클럽 연설에서 “관세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피치는 올해 미국 연간 성장률을 1.2%로 전망했다. 지난달 전망치보다 0.5%p 낮은 수치이다.
항의가 거세지자 미국 민주당의 차기 대선 주자인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행동에 돌입했다.
뉴섬 주지사는 지난 16일 트럼프 정부의 정책에 소송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