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신위철 기자】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국내외 경게 침체 우려가 커졌지만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원·달러 환율과 가계부채 증가 우려 등으로 인해 금리 인하가 쉽지 않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오전 통화정책 방향 결정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275%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11월, 올해 2월 등 올해 세 차례 0.25%포인트 인하한 다음 페이스 조절에 나선 것이다.
경기 상황만 부면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해보인다. 대외 리스크가 현실화 되면서 경기가 하방 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관세 전쟁을 주도하며 주요 교역국인 미·중 갈등이 격화되면서 한국은 가운데서 피해를 보고 있다.
수출이 경제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 입장에서는 무역 환경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한은은 앞서 2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국내 경제 성장률을 1.5%로 내다봤다.
하지만 미국의 관세 장벽과 타국의 보복조치 등을 고려할 때 향후 5월 경제 전망에서 더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금통위는 환율 변동성을 우려해 금리 동결조치를 내린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은 한 달 사이 1410~1480원대 사이를 오가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환율의 특정 수준보다 변동성 확대가 더 경계된다고 거듭 강조한 바 있다.
금리 인하시 가계부채 증가도 우려되며 미국의 금리정책 방향이 오리무중이라는 점도 한은을 고민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