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딸 주애가 최근 부친의 중국 방문길에 동행하면서 북한의 ‘4대 세습’ 구도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5일 나온다.
주애의 후계자 여부는 불투명하지만, 김정일·김정은 시절과는 다른 방식으로 후계 구도가 굳어지고 있다는 모습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2일 딸 주애와 함께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을 위해 베이징에 도착했다.
북한의 후계자로 끊임없이 거론되는 주애가 중국 방문길에 함께 하자 북한이 주애를 ‘후계자’로 낙점했다는 관측이 난무했다.
북한 최고지도자와 그 자녀가 정상 행사 차원에서 중국을 찾는 건 ‘후계자 신고식’이라는 관례 때문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북한의 과거 세습 과정을 볼 때 이례적인 측면도 있다.
김 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1974년께 후계자로 내정됐지만 1980년 노동당 대회에서야 최종 후계자로 확정됐다.
이후 1983년 중국을 방문해 덩샤오핑을 만나 ‘후계자 신고식’을 했다.
김 위원장은 2009년부터 북한의 후계자로 내정됐다는 설이 흘러나왔다. 2010년 공식 직책을 받고 후계자로 확정됐다.
이후 2011년 김정일 위원장과 함께 중국을 방문해 국제사회에 얼굴을 알렸고 ‘공식 신고식’을 치른 바 있다.
두 사례를 미뤄볼 때 북한의 후계자 확정 방식은 내부적으로 정통성을 우선 확보하고 대외 공개라는 순서로 진행된다.
그런데 주애가 실제 북한의 후계자일 경우 이 같은 관례와는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등장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주애는 2022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화성-17형 시험발사장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당시 열 살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며 대외적으로 충격을 줬다.
그로부터 불과 3년 만에 북한 입장에서는 가장 큰 외교행사에 공식 동원된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주애가 북한의 후계자라는 인식에 의문을 표하고 있다. 한 북한 전문가는 “주애가 후계자가 되려면 북한 내부의 입지를 다지는 절차를 거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