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이재명 전 대표가 대선 패배 후 자숙하지 않고 곧바로 전당대회에 출마할 때부터 예견된 일이긴 했다.
사법리스크가 큰데다 대선에 나서 패배한 후보가 곧바로 전당대회에 나선 건 한국정치사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운 일이다.
그런데도 이 전 대표는 더불어민주당의 대표에 당선됐다. 민주당원들은 윤석열 정권의 프레임에 이 전 대표가 말려들었고, 윤 대통령과 경쟁할 이는 이 전 대표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 전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너무 크다는 점이다. 이 전 대표가 구속적부심(영장실질심사)을 받지 않도록 민주당은 이 전 대표 방탄에 동원돼야 했다.
총선 선거운동 기간에도 이 전 대표는 법정을 들락거려야만 했다. 이 전 대표가 대표가 되지 않았다면 사법리스크는 이 전 대표 개인의 것이었을 테다. 하지만 이 전 대표가 민주당 대표가 되자 이 전 대표의 사법리스크는 곧 당 전체를 집어삼키게 됐다.
급기야 민주당은 이 전 대표 수사 담당자 등 검사 4명의 탄핵소추안을 발의하기에 이르렀다.
검찰의 목줄을 죄어 이 전 대표를 향한 수사의 칼날을 무디게 만들겠다는 시도이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검사 탄핵 시도에 대해 ‘이건 쿠데타’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은 “군대를 동원하지는 않았지만, 자신과 주변인에 대한 사법적 심판을 막거나 시간을 끌어 그사이 대통령이 되겠다는 것”이라면서 “이렇게 헌법을 무시하고 삼권분립을 형해화하면서 대한민국 국가체제를 전복시키려고 하는데, 이게 쿠데타가 아니라면 무엇이 쿠데타란 말이냐”라고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4·10 총선에 승리하면서 ‘여의도 대통령’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집권만 하지 않았지 사실상 국회를 좌지우지 하는 건 171석 민주당의 수장인 이 전 대표다.
그는 민주당 역사상 단 한 명(김대중 전 대통령)만 성공했던 대표 연임에도 도전한다. 오는 8월 전당대회에서 대표 연임이 유력하다.
하지만 대표에 연임을 해도, 2027년 치러질 대선에 나간다고 해도 사법리스크가 사라지거나 뭉갤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재명의 위기가 커질수록 민주당의 위기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