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상용 기자】대선이 불과 한달 앞둔 상황에서 1강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심화되면서 대선 구도에 영향이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대법원이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 하면서 이 후보의 사법리스크가 심화됐다.
양자대결에서 50%대 다자대결구도에서 30%대 후본에서 독주를 달리던 이 후보로서는 정치적 타격이 불가피하다.
‘반(反) 이재명’을 기치로 빅텐트를 치려는 국민의힘에게는 대형 호재이다.
그러나 여전히 정권교체 비율이 정권유지 비율을 앞선 것은 국민의힘을 고심하게 하고 있다.
민주당은 대법원의 파기환송에 “흔들리지 말고 의원 전원 단일대오로 대응하겠다”라고 의지를 다졌다.
정청래 의원은 “대통령을 대법원이 뽑느냐”라고 지적했고, “대법원의 사법쿠데타”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하기도 했다.
민주당으로서는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2심의 무죄 판결을 확정할 것으로 기대했던 민주당은 허를 찔렸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후보에게는 사법리스크 심화로 인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민주당 안팎에서는 이 후보의 사법리스크가 가중되었다며 “후보 교체가 불가피하다”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이 이미 이 후보를 중심으로 단일대오를 구축한 시점에서 후보 교체는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