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애도야…애도심리 상담 필요

2025.04.24 14:34:30

상조업계 "서비스 검토해볼 것"


【STV 김충현 기자】누구나 가까운 사람을 잃으면 심리적 공백 상태를 경험한다.

전문가들은 고인을 잃은 지인들에 대해 “심리적으로 화상을 입은 상태”라고 설명한다. 화상은 짓무르고, 2차 감염이 될 가능성이 있다.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더 큰 상처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애도심리의 대가 J.윌리엄 워든의 《유족의 사별애도 상담과 치료》에 따르면 애도를 제대로 하지 못한 유족은 ‘복합애도’로 빠져든다.

즉 고인을 여읜 뒤 일상생활을 하지 못하고 갖가지 부정적 반응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애도의 목표는 마음 속에 고인을 재배치(repositioning)해서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조기에 애도상담이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 상조·장례업계에서는 ‘애도상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일부 상조업체가 ‘애도 심리상담’을 부가서비스로 제공하고 있지만 본격적인 것은 아니다.

장례업계도 물리적 장례식에만 초점을 맞추고, 유족의 정신적·심리적인 부분까지 챙기지는 못하고 있다.

이는 시간과 비용의 한계로 인한 것이다. 3일이라는 짧은 장례식 기간 동안 유족의 ‘애도심리 상담’이 이뤄지기가 어려운 것이다.

문제는 복합애도로 빠져드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우리 사회가 치러야 할 비용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상조업계가 3.0을 넘어 4.0을 꿈꾼다면 ‘애도심리 상담’도 상품의 하나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애도심리 상담이 필요한 회원에 한해 서비스를 하되, 향후 모든 회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넓혀도 된다.

상조업계 한 관계자는 “‘애도심리 상담’은 아직 상조업계가 가보지 않은 영역”이라면서 “회사 내부에서 어떤 식으로 서비스 해야할 지 검토해보겠다”라고 말했다.



김충현 기자 beinlow@gmail.com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