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문재인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낸 최재성 전 의원은 최근 국민의힘의 지지율이 상승세를 보이는 데 대해 “중도층 이동이 결정적”이라고 말했다.
최 전 의원은 17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계엄 논란 이전 20% 후반대였던 국민의힘 지지율이 일시적으로 20% 중반대로 하락했다가 회복세를 보인 후 상승했다”라고 했다.
그는 정당 지지율 역전 현상의 원인에 대해 민주당의 대응 전략이 실패한 것이라고 했다.
최 전 수석은 “민주당이 무능해 보이고, 무책임하며, 거칠고, 조롱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보수층의 결집을 가속화시키고 중도층 이탈을 촉진했다”라고 꼬집었다.
그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례를 언급하고 “탄핵되면 바로 대선이라는 학습 효과로 인해 현재 대선 국면이 조성됐고, 이로 인해 보수층이 결집했다”면서 “지지율 크로스(역전)가 발생한 것은 중도층 이동이 결정적이었다”라고 못박았다.
최 전 수석은 과거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와 현재 상황을 비교하고 “당시에는 ‘집단적 유목민’ 현상이 있었다”라고 했다.
그는 “합리적 보수와 중도 보수까지 이탈해 안철수 진영으로 약 15%가 이동했지만 현재 국민의힘이 유일한 보수 정당이라 지지층이 분산될 다른 정치적 둥지가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최 전 수석은 민주당을 향해 “중도층 이동을 매우 중대한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면서 “갑(甲)처럼 느껴지게 하는 것을 굉장히 금지해야 한다”라고 주문했다.
그는 “현재 정국이 중원을 둘러싼 경쟁 구도로 전환됐다”라고 봤다.
실제로 보수층의 결집과 함께 국민의힘 지지율이 가시적으로 상승하면서 국민의힘이 고무되는 분위기다.
반면 민주당 내부에서는 ‘전략 부재’를 지적하며 원내 지도부의 무능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