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사다난했던 2024년, 푸른 용의 해 갑진년이 저물어 간다. 본지는 2024년 상조·장례업계 10대 뉴스를 되짚어보고 새롭게 다가오는 2025년, 을사년을 대비한다.<편집자 주>
【STV 김충현 기자】산분장 시행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홍보가 미흡해 제대로 시행될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산분장은 기존의 봉안당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장례업계 안팎에서 큰 기대를 받아왔다.
장사법 개정으로 인해 내년 1월 25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정부가 화장률 높이기와 자연장 등 굵직한 정책을 놓고 홍보에 공을 들이던 것과 달리 산분장과 관련해서는 뚜렷한 홍보활동을 펼치지 않고 있다.
정책의 성패가 국민에게 얼마나 해당 정책을 알릴 수 있느냐에 달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산분장의 성공 가능성이 낮지 않겠느냐는 비관적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최근 전국 지자체 관계자들을 모아놓고 ‘산분장’에 대한 개념을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정부의 기대와는 달리 지자체 관계자들이 산분장의 개념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혼란스러워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자체 담당 공무원들조차 산분장 개념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민들이 제대로 정책을 소화할 수 있을까.
일각에서는 산분장의 범위를 놓고도 혼란이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바다장의 경우 해안선에서 5km 지점에 산분을 하게 돼 있는데, 이때 5km 지점의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를 놓고 혼란이 커질 것이라는 예측이다.
장례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산분장 홍보에 크게 공을 들이지 않는 것 같다”면서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국민들이 정책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