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정부에서 비상계엄을 선포한 건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서거한 1979년 이후 45년 만의 일이다.
4일 새벽 국회에 모인 국회의원 192명이 비상계엄 해제안을 통과시키면서 계엄은 6시간 만에 끝이 났다.
비상계엄은 전시상황이나 국가비상사태를 제외하면 민주국가에서 꺼내들기 힘든 카드이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야당이 발목을 잡고 있는 현실에 분노해 측근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협의 하에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으로 보인다.
비상계엄이 해제된 이후 윤 대통령은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렸다. 야당은 당장 탄핵소추안을 발의했고, 여당은 탄핵을 반대하면서도 임기 단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윤 대통령은 리더십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었다. 정치력을 상실한 대통령의 말로는 비참할 가능성이 높다.
윤 대통령의 느닷없는 계엄선포는 리더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한다.
상조·장례업계에도 수많은 리더가 있다. 이 중에 진정으로 업계의 미래를 생각하고, 진지하게 숙고하는 리더는 얼마나 될까.
기업인은 기본적으로 수익 창출을 최우선의 목표로 한다. 이것은 기업의 본질이기에 추구하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진정한 리더라면 한 기업의 수익 창출을 넘어 업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 나아가 국민의 복지 증진에 힘을 써야 하지 않을까.
한 상조업계 관계자는 “상조업계에도 존경할만한 리더가 많다”면서도 “스스로 그런 리더라고 자부하기 어렵다면 행동을 바꾸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