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국내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서면서 초고령 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현재 추세대로면 늦어도 내년 전반기에는 초고령 사회 진입이 확실시 된다. 이에 상조·장례업계에서도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7월 10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가 1000만62명으로 전체 주민등록인구(5126만9012명)의 19.51%를 차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은 2000년(7.2%)과 2018년(14.3%) 각각 고령화 사회와 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통계청 기준 초고령 사회 진입 시점은 2025년 전반기로 예상된다. 세계은행의 분류에 따르면 사회보장이 필요한 연령인 65세를 기준으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세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된다.
한국보다 더 빨리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에서는 극적인 장례문화의 변화가 일어났다. 일본은 이미 2005년에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바 있다.
일본은 헤이세이(平成) 불황에 접어들면서 장례문화도 급격한 변동을 겪었다. 헤이세이 불황이란 일본의 거품 경제기 이후 발생한 헤이세이 시대의 경기후퇴 현상을 뜻한다. 그 시작은 헤이세이 3년인 1992년부터이며 2001년까지 10년동안 지속됐다.
경제의 거품이 걷히자 일본 사람들은 생활에 가장 긴요한 서비스가 아니면 소비를 줄이기 시작했다. 장례 문화도 간소한 방향으로 바뀌었다.
고인뿐만 아니라 조문객들조차 고령화 되면서 조문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고인의 자녀나 친인척 등이 은퇴 후에 장례식을 치르는 경우가 많아져 조문객 수나 조의금도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 일본의 장례문화는 여전히 사회적 체면을 중시하는 계층의 화려하고 규모가 큰 장례식과 가족끼리 치르는 소박한 가족장으로 나뉘었다.
대부분의 서민은 가족장을 치르면서 장례의 규모가 줄어들었다. 향후 한국의 장례문화도 이러한 방향으로 바뀌어갈 수 있어 상조·장례업계의 선제적 대비가 필요하다.
한 장례업계 관계자는 “일본이 간소한 장례문화로 바뀌어 간 것처럼 한국도 그럴 가능성이 높다”면서 “상조·장례업계가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