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란희 기자】지난해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자 수인 자살률이 27.3명을 기록해, 2014년(27.3명) 이후 9년 만에 최대치를 보였다.
코로나 엔데믹(풍토병화) 이후 사회적 고립감이 커진데다 상대적 박탈감 등으로 인해 자살한 사람들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사망 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한 사람은 35만2511명으로 1년 전보다 5.5% 감소했다.
사망자 중 자살한 이는 1만3978명이며, 전체의 4%를 차지했다. 사망 원인 5위로 꼽혔다.
자살률(27.3명)은 1년 전(25.2명)과 비교해 8.5% 증가한 것으로 남성의 자살률이 38.3명, 여성이 16.5명으로 1년 전 대비 각각 8.4%, 9.0% 높아졌따.
코로나 엔데믹 이후 사회적·경제적 격차로 인한 부담으로 인해 자살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모두 힘들었던 코로나 시기에는 수면 아래 잠겨있던 문제들이 코로나 엔데믹 이후 크게 부각된 데 따른 것이다.
코로나 때 이어진 경제적 지원이나 보복 소비현상에서 제외된 박탈감 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코로나로 인한 사망은 크게 줄었다. 2022년 코로나 사망자가 전체 사망자의 8.4%로 3위였는데, 지난해에는 코로나 사망자가 줄어들며 전체 사망자 중 2.1%에 그쳤다.
경제협력기구(OECD) 국제 비교를 위한 연령 표준화를 거친 자살률은 24.8명에 달해 OECD 전체 평균(10.7명)의 2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