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전국에 추모공원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고 있다.
장례업계 일각에서는 이러한 속도로 추모공원이 급격히 늘어날 경우 나중에 관리할 여력이 없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6일 현재 경북 포항, 경남 거창, 경기 양평 등지에서는 추모공원(종합장사시설)이 추진되고 있다.
경북 포항에서는 시 차원에서 코스트코 입점을 약속할 정도로 의욕적으로 추진 중이며, 경남 거창과 경기 양평 등에서는 지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추모공원 건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이 추모공원 건립에 나선 이유는 명확하다. 화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지역에 화장시설을 포함한 추모공원이 없어 원정 화장을 떠나야 하기 때문이다.
원정 화장을 떠나는 주민들은 시간과 비용 면에서 몇 배의 수고를 들여야 하고, 이 같은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 내 추모공원 건립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컸다.
화장률이 높지 않은 1990년대에는 ‘국토의 묘지화’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이후 장례업계와 정부 차원에서 화장(火葬)을 권장하는 캠페인을 벌이면서 화장률은 급상승했고, 2022년 기준 화장률은 91.7%까지 상승했다. 일단 국토의 묘지화는 막은 셈이다.
문제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추모공원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날 경우 국토가 ‘제2의 묘지화’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자연장지 등의 명목으로 추모공원 내에 수목장림이 설치되어 있지만, 나무에 거대한 푯말을 다는 등 원래 ‘자연으로 돌아간다’는 취지와는 사뭇 다른 움직임이 벌어지고 있다.
장례업계 일각에서는 추모공원 건립과 자연장에 대한 진정한 해결책은 ‘완전 산골’에 있다고 보고 있다.
허가받지 않은 곳을 제외한 전 국토에 화장한 골분을 뿌리도록 해야만 자연장지의 모순을 극복하고 추모공원의 무분별한 건립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장례업계 관계자는 “완전 자연장으로 가야만 추모공원의 ‘묻지마 건립’을 묵고 훨씬 안정된다”면서 “추모공원을 많이 지어봐야 관리할 사람도 없다”라고 내다봤다.